2006 금요상설무대 풍류한마당 '다향과 풍류' 전수회관 7시반 무료공연 상반기전체안내
최고관리자
0
2103
2019.04.08 22:34
2006 금요상설무대 풍류한마당 `다향과 풍류` | |
작성일: 2006/04/03 PM 03:41 작성자: 김우정(kwj13499) | |
2006년 전통문화 금요상설공연 풍류한마당 "다향과 풍류" □ 공 연 명 : 다향과 풍류 □ 기 간 : 2006. 4. 7~6. 9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30분 □ 장 소 :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 □ 주 최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후 원 : 문화재청 □ 관 람 료 : 무 료 (미리 전화예약하셔야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 예약/문의: 02)3011-2164 http://www.fpcp.or.kr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공연전시팀 1588-7890 http://www.ticketlink.co.kr 티켓링크 □ 오시는길 : 2호선 선릉역 8번 출구에서 선정릉, 라마다호텔방면으로 도보 7~8분 7호선 강남구청역 1번출구에서 도보 10분 공연안내 4/ 7 서도신민요와 함께하는 “흥”과“멋”- 유지숙(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전수조교) 4/14 김금숙의 경기민요 -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조교 4/21 남도들노래 - 중요무형문화재 제51호 남도들노래보존회 4/28 배뱅이굿과 함께하는 김경배의 서도소리여행 - 김경배(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전수조교) 5/12 김영기의 시조창“孝”- 김영기(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5/19 매화사 8절 - 조순자(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5/26 영산재공연(세시절특집 공연)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6/ 2 박상옥의 휘몰이잡가 - 박상옥(서울시무형문화재 제21호 휘몰이잡가 보유자) 6/ 9 선가의 뒤를 이어갈 젊은 歌客(가객) - 한국가곡보존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세부프로그램 -------------------------------------------------------------------------- 서도신민요와 함께하는 “흥”과 “멋” 공연날짜: 4월 7일 ㅇ 공연자 이력 유 지 숙 1995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전수교육조교 선정 1996 국립국악원 연주원 입사 1998 KBS 국악대상 수상 서도민요 독집 제1집 “유지숙 서도소리 음반 출반” 서도민요 독집 제2집 “유지숙 경기, 서도집” 서도소리 가사 초록 출간 1997 영국, 미국, 소련, 중국 서도소리 협연공연 1995~ 현재 용인대 및 동대학원, 단국대학원, 서울예술대학, 한국종합예술대학, 국립고등학교 출강 2003~ 현재 국악방송 “국악이 좋아요” 매주 수요일 진행 서도 신민요와 함께하는 “흥”과 “멋”의 공연은 북한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민요를 발굴하여 나온 음반을 새롭게 편곡하고 음악으로 편집하여 새로운 신민요와 소리를 선보이게 된다. 프로그램 수심가, 엮음수심가 - 유지숙 산염불, 자진염불 - 유혜숙, 이지녀, 강석 싸름 타령, 몽금포 타령, 금다래 타령 - 류지선, 전소현, 주예슬 제전 - 유지숙 개성산염불, 물레타령, 연평도난봉가 - 김수진, 강정민, 이나라, 장효선, 최윤영, 박남주, 양혜경 서도신민요 모음 산천가, 굼베타령, 신호무가 - 유지숙 축원경, 파경 - 출연자 전원 초한가 - 김민우 배꽃타령, 삼동주타령 - 유지숙 봉족타령, 배치기, 자진배따라기 - 강석, 김성중, 김민우, 안미숙, 이우근, 한채언, 김경순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 - 출연자 전원 출 연 유지숙, 박준영, 최병문, 이지녀, 안미숙, 김성중, 김수진, 강정민, 이나라, 김민우, 유지선, 주예슬, 강석, 이우근, 유혜숙, 장효선, 박남주, 공미연, 김미림, 김유리, 김선미, 유지현 ----------------------------------------------------- 김금숙의 경기민요 - 공연날짜: 4월 14일 공연자 이력 김금숙 1962 청구 고전 성악 학원 입학 - 고(故) 이창배 선생에게 사사하여 가사, 시조, 경서도창 전수 1985 제11회 전수 대사습 대회 민요부문 장원 수상 1988 대전 시립 국악원 수석단원 역임 1990 제6회 한라 문화제 대상 수상 1990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보유자 후보 1999 김금숙 경기12잡가 완창발표회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 2002 KBS 국악대상 민요부문 수상 및 축하공연 (KBS 홀) 현 단국대학원 국악과 출강 (사)한국국악협회 이사 프로그램 1. < 12잡가 中 > - 김금숙 유산가 권명자 이귀례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김선경 김유진 어기준 유진아 황수진 2. < 12잡가 中 > - 권명자 이귀례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선유가 김영숙 김유진 신소희 오경순 유진아 이순옥 이제임 이종하 임연희 정은순 정정희 한인숙 한정자 황수진 3. < 휘모리 잡가 中 > - 민정현 송수아 정해림 황유경 맹꽁이 타령 4. 산타령 - 권명자 이귀례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김영숙 김유진 신소희 오경순 유진아 이순옥 이제임 임연희 정정희 한인숙 황수진 5. 국문뒤풀이 - 김도연 민정현 송수아 이유림 임종현 임지현 정해림 황유경 6. < 아리랑 연곡 > 정선아리랑 - 김금숙 강원도아리랑 - 이정문 이순옥 한인숙 한정자 황수진 해주아리랑 - 권명자 신소희 유진아 밀양아리랑 - 송미숙 오경순 임연희 정정희 황수진 진도아리랑 - 이귀례 강계월 김영숙 김유진 이제임 이종하 아리랑 - 어린이 합창단 7. < 민요연곡 > 노랫가락 - 김금숙 청춘가 - 권명자 이귀례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태평가 - 권명자 이귀례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김영숙 김유진 신소희 유진아 한인숙 황수진 양산도 - 오경순 이순옥 이제임 이종하 임연희 정은순 정정희 한정자 뱃노래 - 출연자 전원 잦은뱃노래 출 연 보유자 후보: 김금숙 이수자: 권명자, 강계월, 이정문, 송미숙, 김선경, 김영숙, 김유진, 신소희 오경순, 유진아, 이순옥, 이제임, 이종하, 임연희, 정은순, 정정희 한인숙, 한정자, 황수진 전수자: 김도연, 민정현, 송수아, 이유림, 임종현, 임지현, 정해림, 황유경 반주단 ㅇ 피리 - 김찬섭(서울시무형문화재 제35호 밤섬부군당도당굿 보유자) ㅇ 장고 - 송은주(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경?서도소리 박사과정) ㅇ 해금 - 김민정 --------------------------------------------------------- 남도들노래 - 4월 21일 단체연혁 중요무형문화재 제51호 남도들노래 1970 전국민속경연대회 우수상(문공부장광) 1973 중요무형문화재 제51호 남도들노래 지정 1986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보유단체 인정 1973~2005 중앙발표공연 23회, 자체공개공연 25회 국제공연(일본) 4회출연, 국내초청공연 50여회 출연 지역축제 시연공연 60여회참가, KBS. MBC 초청공연 12회 참가 남도들노래는 논일을 하면서 불리워지는 농요로 모를 떠서 모를심고 김을매서 추수하여 덩실덩실 춤을추며 집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작업형태별로 각양각색으로 흥겨웁게 불리워지는 것이 특이하다. 남도들노래는 다른 지방의 농요와 다른 특징은 첫째 가락이 무척 다양하고 흥겨우며, 둘째 뒷소리를 길게 빼면서 부르고, 셋째 징.꽹과리.북.장구와 못방고로 반주하며 시종일관 노래를 부르며, 넷째 진도에서도 지산면 이라는 한정된 지역에서 불리어지고 있는 점이라 하겠다. 이노래의 가사내용은 주로 임에 대한 상사원망과 인생의 무상 또한 충효심의 발양과 근로사상의 선양등이 주조를 이루고 있으며 보통 30명 내외의 남녀 작업반으로 편성되어 불리워지며 이 들노래는 한사람의 메김소리에 따라 합창으로 뒷소리를 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들노래가 시연되면 모든 구경꾼은 한마음으로 흥취되어 어깨춤이 절로 나오는 구성진 농요다 프로그램 1. 모뜬소리(모뜨는 놀이) 2. 못소리(모심는 놀이) 3. 절로소리(논메는 놀이) 4. 길꼬냉이(풍장 놀이) 출 연 보 유 자: 이영자, 박동매 전수조교: 김기순, 박재준, 박종단 이 수 자: 박복자, 김송숙, 박정자, 김인심, 박춘자, 박연복, 정복심, 설정순 이원심, 곽서희, 김귀열, 설귀자, 서선심, 강도심, 윤양자, 오정언 이매심, 한송엽, 박준표 전 수 자: 오주창, 백미자, 설영애, 안상길, 강선이, 설재림 ----------------------------------------------------------------- 배뱅이굿과 함께하는 김경배의 서도소리여행 - 공연날짜: 4월 28일 공연자 이력 김경배 1975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예능보유자 고 김정연선생 사사 1996 중요무형문화재 제29호 배뱅이굿 이수 1998 제1회 김경배 서도소리와 배뱅이굿 발표회(국립극장 소극장) 1999 전주대사습놀이 치상 2001 배뱅이굿 전수교육조교 2002 김경배 서도소리1집 출시 2002 한국국악협회주최 제9회 전국국악대전 대통령상 수상 현 (사)배뱅이굿보존회 서울시지회장 (사)서도소리보존회 부이사장 서도소리는 평안도 황해도등, 관서지방에 전승되는 민속가요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서, 예로부터 서도지방민들이 대륙과 인접하여 북방이민족과 겨루어 씩씩하게 살아생활의 감정을 담은 노래들을 발전시켜왔다. 조선말기에는 허덕선, 김관준과 같은 명창들에 의해 서도좌창, 서도입창, 서도민요, 배뱅이굿 등이 발전하였다. 서도소리 중 1인 창극에 해당하는 배뱅이굿과 서도소리를 한판을 걸쭉하게 펼친다. 프로그램 1. 관산융마(시창) _________ 김경배, 양진희, 손일향, 김선미, 박연주, 유희선, 김은희 강수빈, 이나은, 최혜원, 김종화, 김유진 2. 수심가/엮음수심가(서도민요) ______김경배, 유희선, 김선미, 박연주 3. 영변가(서도소리 좌창) __________________ 출연자 전원 4. 배뱅이굿 ___________________________ 김경배 5. 개성산염불, 몽금포타령, 풍구타령(서도민요) ________김은희, 황수빈, 이나은, 최혜원, 김유진 6. 산염불, 자진염불(서도민요) ________김경배, 이명의, 김세묵, 김종태 7. 느리게타령, 해주아리랑, 연평도난봉가(서도민요) ________ 양진이, 손일향, 임하지, 이정희, 권영숙, 이순복, 홍경희 하봉이, 이순용, 최길자, 김설화, 이납순 8.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난봉가, 사설난봉가 _______출연진 전원 출 연 전수조교: 김경배 이 수 자: 양진희, 손일향, 김종태, 이명의, 김세묵, 유희선, 김선미, 박연주, 김은희, 강수빈, 김종화, 이나은, 최혜원, 김유진, 정정희, 권영숙, 홍경희, 임하지, 하봉이, 이순복, 이순용, 최길자, 김설화, 이납순, 반 주 단 ㅇ피리: 김선우 ㅇ대금: 김선호 ㅇ장구: 장홍열 ㅇ해금: 변승주 ---------------------------------------------------- 김영기의 시조창 “孝” - 공연날짜: 5월 12일 공연자 이력 김영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동 대학원 졸업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단원 역임 1982년, 1992년, 1999년 KBS 국악대상 수상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KBS국악관현악단 연주원 월하여창가곡 보존회 회장 (재)월하문화재단 이사 서울대, 이화여대, 단국대, 국악예고 출강 월하전통문화원, 정농악회, 한국음악사학회 회원 공연소개 신록의 눈부심이 마음의 티끌도 날려 버릴듯한 축복의 계절, 이 계절의 아름다움도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의 질서와 삼라만상의 법칙에 따라 존재합니다. 부부나 부모 자식의 인연 또한 몇 겁의 세월을 통한 소중하고 각별한 사랑의 존재입니다.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겨 보는 5월, 옛 시조로 부모님의 은덕을 노래하려 합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면면히 내려오는 ‘효’에 관한 시조의 내용을 가곡, 가사, 시조, 시창에 올려 노래의 다양한 맛을 선 보이고자 합니다. 특히 어머니와 아들, 아들 제자의 수연 화답(壽宴和答)시조는 옛 정서와 문화를 오늘날과 비교하실 수 있을 겁니다. 부모님께 드리는 우주 초연의 노래, 함께 불러보실까요? 프로그램 1. 우조시조 - 어버이 자식사이 … 이유경 2. 가사 - 권주가 … 박민희 <수연 화답(壽宴 和答)시조 3∼6> 3. 평시조 - 만수산 만수동의 … 김승예 4, 반 사설시조 - 국가가 태평하고 … 이선수 5. 여창지름시조 - 일중(日中) 금 까마귀 … 최하나 6. 지름시조 - 까마귀 토끼 … 이아름 7. 가곡 - 왕상의 잉어잡고 … 이아미 8. 가곡 - 누리소서 누리소서 … 정마리 9. 가곡 - 어화청춘 … 김영기 10. 시창 - 반중(盤中) 조홍감이 … 김영기 11. 평시조 - 어버이 살아 신제 … 김영기, 전수자, 문하생 ◇출 연 보 유 자: 김영기 (해설) 전수장학생: 이아미, 이유경 전 수 자: 정마리, 이선수, 박민희 ,김승예, 이아름, 최하나 문 하 생: 배현수, 신소영, 김보영, 나경은, 장보람, 이지은, 이 선, 강슬기 반 주 자 ㅇ장구: 김웅식 (타악 푸리 동인) ㅇ피리: 박영기 (경기도립국악단 수석) ㅇ대금: 김상준(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ㅇ거문고:김영숙(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ㅇ가야금:김경순(그리스도 신학대학 강사)ㅇ해금: 정길순(경기도립국악단 수석) ------------------------------------------------------------ 매화사 8절 -공연날짜: 5월 19일 공연자 이력 조순자 1962. 4.~1967. 11. 국립 국악원 연구원 1981 국립국악원 제19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남창 홍원기, 여창 조순자(국립극장소극장) 1985/1989 KBS 국악대상수상 1991 국립국악원 개원 40돌기념 공로상 수상 2001 선가 조순자의 연주가 있는 국악강의 -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초청 특강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선정 2005 한국방송대상수상 현 경상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동국대학교, 부산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경남 국악교육연구회장, 한국 국악교육학회 이사, 국악 전용 소극장 "가야국악회관" 관장, 마산 MBC-AM "우리가락 시나브로" 진행자 공연소개 <매화사>는 1870년 겨울에 안민영이 스승인 박효관의 운애산방을 방문했을 때, 반쯤 피어 있는 매화의 그윽한 향기에 취해 지은 작품이다. 노랫말에는 운애산방의 흥겨운 풍류를 비롯하여, 황혼 무렵 달빛에 비친 매화의 우아한 모습, 눈 속에서도 봄뜻을 가장 먼저 알리는 매화의 강인한 모습 등이 형상화 되어 있다. 이러한 노랫말은 각각 초삭대엽, 이삭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삭대엽, 소용, 반엽 등과 같은 곡조로 불렸는데, 이는 가곡창의 ‘한바탕’이 구성되는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노랫말과 곡조의 조화를 이룬 <매화사> 가창은 <매화사>에 대한 감상의 폭을 넓혀 줄 뿐만 아니라, 옛노래의 복원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 김현식, 홍익대 프로그램 1. 初數大葉(초삭대엽) 매영이 2. 二數大葉(이삭대엽) 어리고 3. 中擧(중거) 빙자옥질 4. 平擧(평거) 눈으로 5. 頭擧(두거) 황혼의 6. 三數大葉(삼삭대엽) 바람이 7. 騷聳(소용) 저건너 8. 回界數大葉(회계삭대엽) 동각에 출 연 보 유 자 : 조순자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이 수 자 : 이종록 중요무형문화재 제41호 가사 이수자 전수장학생: 신혜선, 권민영 전 수 생 : 허화열, 이성순, 신헌례, 김나령, 조수연, 곳고리회(가곡을 공부하는 국문학자들의 모임) 반 주 자 영송당가곡보존회 --------------------------------------------------------------------------- 영산재(靈山齋) -세시절맞이 특별공연- 공연날짜: 5월 24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영산(靈山)재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의 줄인 말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취산에 계시며 설법(說法)하시던 때의 모임으로 이 법회(法會)에 동참한 모든 청문중(聽聞衆) 외호중 (外護衆)은 환희심을 일으키고 시방(十方)의 제석천왕과 수 많은 보살, 신중 등이 운집하여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환희했으며 하늘에는 만다라 꽃이 날리고 묘음보살 및 천동천녀가 내려와 꽃과 향, 기악과 가무로써 공양" 하였던 당시 광경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프로그램 첫째마당. 인간의 일상 수행 생활. 영산재를 지내기 앞서 일상 수행 생활인 아침 예불 둘째 마당. 영산재 영혼천도 의식인 대령, 관욕의식 영산재 상단권공 (괘불이운의식,상단권공의식,식당작법의식) 영산재 희심곡, 회향의식 셋째마당. 인간 죽음으로 극락환생 염원. ----------------------------------------------------- 박상옥의 휘몰이잡가 - 공연날짜: 6월 2일 공연자 이력 박상옥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1호 휘몰이잡가 보유자) 1973 이창배 선생님께 시조, 가사, 경서도창 사사 1976 전국 민요 경창대회 1등상 수상 1980 전주대사습 민요부문 차상 수상 1996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보조자 지정 1999 목원대학교 음악대학 한국음악과 강사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21호 휘몰이잡가 예능보유자 지정 2004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 강사 KBS 국악대상 민요부문 대상수상 휘몰이잡가발표공연 “용인농요 및 상여소리” 2005 휘몰이잡가 발표공연 - 국립국악원 휘몰이잡가란 서울잡가 가운데 한배가 빠른 것 들을 말한다. 휘몰이라는 말은 우스꽝스러운 익살과 곁말 투성이의 사설(師說)을 빠른 속도로 촘촘히 나가는 창법에서 붙인 이름이다. 사설은 대개 장형시조의 변형으로 해학적인 재미있는 말을 자진타령장단에 앉아 부르기 때문에 사설시조의 한 갈래에 포함되기도 한다. 휘몰이잡가는 가사, 시조를 잘 부르던 잡가꾼들이 발전시킨 것들인데 조선말기에 서울 풀무골 소리꾼 이현익(李鉉翼)이 많이 휘몰이잡가를 지었다 한다. 이창배(李昌培)는 청구학원을 운영하여 박상옥 ? 황용주 등을 배출하였다. 현재 서울에 전승되는 휘몰이잡가에는 만학천봉 ? 곰보타령? 병정타령 ? 기생타령 ? 육칠월 ? 생매잡아 ? 바위타령 ? 맹꽁이타령 ? 한잔부어라 ? 비단타령 등이며 음악적 특징이나 창법은 12잡가와 공통된다. 그리고 사설의 내용을 보면 모두 장황하게 비슷한 내용의 낱말을 나열하는 사설이 많고, 바쁜 일을 나열하여 할 수 있을지 말지하고 대답하는 유형이 많다. 휘몰이장단은 자진모리장단을 더욱 빨리 연주함에 따라 생성된 장단으로서, 이 장단이 사용되는 음악은 전반적으로 씩씩하고 격렬한 느낌을 준다. 프로그램 1.맹꽁이타령,장기타령 2.바위타령 3.곰보타령 4.변강쇠타령 5.병정타령 6.서도산타령 - 놀량/앞산타령/뒷산타령/경발림 7.각도민요 - 노랫가락/청춘가/ 태평가/양산도/한오백년/강원도아리랑 신고산타령/궁초댕기/창부타령/뱃노래/잦은뱃노래 출 연 박상옥, 김국진, 이두영, 김권수, 정혜교, 김영길, 조춘선, 조점순, 김점순 노말임, 송은주, 곽순옥, 김현경, 김혜정, 김준옥, 송지연, 박광희, 장혜옥 김나리, 박인자, 박선녀, 최정애, 최은숙 --------------------------------------------------------- 선가의 뒤를 이어갈 젊은 歌客----- 공연날짜: 6월 9일 단체연혁 한국가곡보존회 2000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발표회 (국악원 우면당) 2001 가곡발표회 “선비의 얼 천년의 소리”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회관-지방공연/이화회관-서울공연) 2002 가곡발표회 “이시대와 함께하는 가객들”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2003 가곡발표회 “초가을에 만난 정가의 향기”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2004 가곡발표회 “북천이 맑다커늘” (서울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진주교대 대강당-지방공연) 2005 가곡발표회 “늦가을 밤의 風流” - 김경배교수 정념퇴임 기념봉정음악회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가곡의 전승은 선가 하규일 선생으로부터 하여 소남 이주환 선생을 거쳐 청운 홍원기의 법통을 이어받은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의 보유자인 소하 김경배로 이어져 그를 따르는 많은 후학들이 전국적으로 가곡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공연은 다음 세대를 이어갈 젊은 가객들의 무대로 꾸며져 참신한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연가객 전원은 모두 전국적 규모의 정가대회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바 있고, 현 보유자인 김경배 선생으로부터 가창력을 인정받고 있는 젊은 가객들의 구성되었다. 반주진 역시 다년간 한국가곡보존회 정기모임과 각종공연에서 경험을 쌓은 악사들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1. 남창가곡 평조 초수대엽 - 예찬건 2. 여창가곡 평조 이수대엽 - 김나리 3. 시 조 평시조(청산은) - 최슬기 4. 남창가곡 평조 삼수대엽 - 채주병 5. 여창가곡 평조 두거 - 민수민 5. 여창가곡 반우반계 환계락 - 김민정 6. 가 사 황계사 - 김영근 7. 여창가곡 계면조 계락 - 이선경 8. 남창가곡 계면조 언롱 - 김재락 9. 여창가곡 계면조 편수대엽 - 이슬기 10. 남녀창 태평가 - 전체합창 출 연 예찬건, 김재락, 채주병, 김영근, 김민정, 김나리, 이선경, 최슬기 민수민, 이슬기 반주자 ㅇ가야금 -박종현 ㅇ거문고-윤선숙 ㅇ대금- 어경준 ㅇ피리-박영기 ㅇ해금-정길순 ㅇ장고 - 박문규 |